국내 바이오 기업들은 2020년대 후반 들어 다시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진짜 중요한 건 단기 이슈가 아니라 “이 회사가 어떤 기술을 갖고 있고, 그 기술이 글로벌에서 통하는가”입니다. 오늘은 국내 바이오 중에서도 시장에서 확실하게 기술 중심으로 재평가 받고 있는 네 기업, 알테오젠, 리가켐바이오, 에이비엘바이오, 올릭스를 각각의 기술력 중심으로 투자포인트, 기술 수출 현황을 정리해보겠습니다.
알테오젠: SC 제형 전환의 절대 강자
“정맥주사를 집에서 5분 만에 맞게 해주는 기술”
바이오 의약품 분야에서 가장 확실한 수익 모델로 꼽히는 기술이 있습니다.
바로 IV → SC 제형 변경 기술, 즉 기존에 병원에서 정맥주사로 맞아야 하는 약을 집에서도 간편하게 피하주사(SC)로 바꿔주는 기술입니다.
“정맥주사(IV)를 환자가 집에서 5분 이내 투여 가능한 피하주사(SC) 제형으로 변경하는 기술이며
히알루론산 분해 효소(히알루로니다제)를 이용해 약물 확산을 돕는다.”
이 시장은 사실상 알테오젠 vs 할로자임(글로벌 1위)의 양강 구도로 평가 받습니다.
알테오젠 강점 정리
- 고유 플랫폼 ALT-B4(히알루로니다제) 보유
- 이미 글로벌 빅파마 다수와 기술 이전 진행
- 약물이 커지면서(항체·ADC·이중항체 등) SC 제형 수요 급증
- 특허 보호 기간이 길어 높은 진입 장벽

투자 포인트
- SC 제형 전환은 약물 자체와 별도 기술료 계약이 가능
- 글로벌 B4 기술 수요는 꾸준히 증가
- 금리 하락 시 바이오업종 전체와 함께 모멘텀 상승 기대
알테오젠은 “유행 탄 회사”가 아니라, 플랫폼 자체가 글로벌 의약품 생태계의 필수 요소가 되어가는 기업입니다.
기술수출 현황
| 품목 | 계약상대 | 지역 | 계약일 | 총 계약금액 | 진행 단계 |
|---|---|---|---|---|---|
| ALT-B4 | 비공개 글로벌 제약사 | 전세계 | 2019.11.29 | 13.73억 달러 | 비공개 |
| ALT-B4 | MSD | 전세계 | 2020.06.24 | 43.17억 달러 | ’25년 키트루다 SC 출시 예정 |
| ALT-B4 | Intas | 전세계(일부 아시아 제외) | 2021.01.07 | 1.15억 달러 | 비공개 |
| ALT-B4 | Sandoz | 전세계 | 2024.07.30 | 비공개 | 비공개 |
| ALT-B4 | Daiichi Sankyo | 전세계 | 2024.11.08 | 3억 달러 | 비공개 |
| ALT-B4 | MedImmune Ltd. | 전세계 | 2025.03.15 | 7.5억 달러 | 비공개 |
| ALT-B4 | MedImmune LLC | 전세계 | 2025.03.15 | 6억 달러 | 비공개 |
| ALT-L2 (허셉틴 바이오시밀러) | Qilu | 중국 | 2017.03.29 | 비공개 | 중국 판매 중 |
| ALT-P1 (성장호르몬) | Cristalia | 남미 | 2019.07.22 | 200만 달러 | 글로벌 2상 |
| ALT-L9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 알테오젠 자회사 | 전세계 | 2020.12.10 | 80억 원 | EMA 허가 완료 |
리가켐바이오: ADC 시장의 차세대 주인공
“뜯어보면 다르다, 진짜 ADC 기술력”
ADC(항체-약물 접합체)는 가장 주목받는 최신 항암 모달리티입니다.
“항체(표적), 링커(끈), 약물(페이로드)로 구성되며 엔허투 성공 이후 주류 기술이 되었다.”
“리가켐바이오는 암세포 특이적 항원(Trop2)에 특이적인 항체(LCB8)를 보유하며
혈중 안정성이 뛰어난 베타글루크로니다제 링커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ADC에서 가장 중요한 건 1) 정교한 항체, 2) 안정적이고 선택적인 링커, 3) 강력한 페이로드 인데, 리가켐바이오는 3박자를 모두 갖춘 국내 유일 기업입니다.

● 리가켐바이오 강점 요약
- Trop2 타깃 독자 항체 LCB8 보유
- 경쟁사 대비 뛰어난 혈중 안정성 링커 기술
- 다양한 페이로드를 조합할 수 있는 플랫폼
- 글로벌 제약사들이 선호하는 안정적 생산성
● 왜 리가켐인가?
현재 ADC 시장은 기술 격차가 매우 명확합니다. “엔허투 이후 어떤 ADC가 차세대 표준이 될까?”라는 질문에
최근 전문가들이 가장 많이 언급하는 회사가 바로 리가켐바이오입니다.

기술수출 현황
| 품목 | 계약상대 | 계약일 | 총 계약금액 | 진행 단계 |
|---|---|---|---|---|
| L1CAM-ADC | ONO | 2024년 | 7억 달러 | 전임상 |
| ADC 원천기술 | ONO | 2024년 | 비공개 | 후보물질 발굴 |
| TROP2-ADC | Janssen | 2023.12 | 약 2.2조 원 | 임상 1상 |
| ADC 원천기술 | Amgen | 2022.12 | 12.47억 달러 | 후보발굴 |
| HER2-ADC | Iksuda | 2021.12 | 10억 달러 | 임상 1상 |
| ADC 원천기술 | SOTIO | 2021.11 | 10.27억 달러 | 전임상 |
| DLK1-ADC | Pyxis | 2020.12 | 2.94억 달러 | 개발 중단 |
| ROR1-ADC | CStone | 2020.10 | 3.63억 달러 | 임상 1b상 |
| CD19-ADC | Iksuda | 2020.05 | 2.27억 달러 | 임상 1상 |
| ADC 원천기술 | Iksuda | 2020.04 / 2021.06 확장 | 8.14억 달러 | 임상 준비 |
| ADC 원천기술 | Millennium(Takeda) | 2019.03 | 4.04억 달러 | 후보 발굴 |
| ATX 저해제 | 파라택시스코리아 | 2017.05 | 300억 원 | 임상 2상 완료 |
| 항생제(Oxacolidine) | Haihe Bio | 2016.12 | 약 240억 원 | 임상 2상 예정 |
| HER2-ADC | Fosun Pharma | 2015.08 | 약 209억 원 | 비교임상 3상 |
| FXa 항응혈제 | GC녹십자 | 2009.06 | 비공개 | 임상 1상 완료 |
에이비엘바이오(ABL Bio): BBB 셔틀의 절대적 존재감
“뇌질환 치료의 가장 큰 난제를 뚫는 회사”
뇌질환 치료제 개발의 핵심 난제는 단 하나입니다. 바로 BBB(혈뇌장벽)를 넘을 수 없다는 것.
BBB 셔틀 기술은 ABL Bio의 독보적 지위 갖게하는 기술입니다.
“이중항체는 두 개 항원을 결합할 수 있으며 BBB 통과 기술에 응용된다.”
“ABL 바이오는 IGF1R 기반 BBB 셔틀 기술을 통해 약물을 뇌로 전달한다.”
“GSK·Sanofi 등 글로벌 기술 이전 진행 중.”
● ABL Bio 기술의 핵심
- 트랜스페린 대신 IGF1R 기반 BBB 셔틀 사용
- 퇴행성 뇌질환(파킨슨·알츠하이머) 치료에 더 적합
- 글로벌 빅파마가 선호하는 구조
- GSK, Sanofi 등과 기술이전 성과
● 투자 포인트
- BBB 셔틀은 약물 전달 플랫폼이므로 다수 파이프라인과 결합 가능
- 뇌질환 치료제 시장은 고령화로 인해 구조적 성장 중
- ABL Bio는 이미 글로벌 파트너링으로 기술력 검증 완료
ABL Bio는 “바이오 기업 중 가장 선명한 차별화 기술을 가진 회사”라고 평가받습니다.

기술수출 현황
| 품목 | 계약상대 | 지역 | 계약일 | 총 계약금액 | 단계 |
|---|---|---|---|---|---|
| ABL104·105 | 유한양행 | 전세계 | 2018.08.31 / 2022.04.05 / 2024.07.12 / 2024.10.21 | 590억 원 | 임상 1/2상 |
| ABL001 | Compass | 글로벌 | 2018.11.30 / 2021.05.13 | 4.1억 + 1.85억 달러 | 임상 2/3상 |
| ABL201 | TSD 라이프사이언스 | 글로벌 | 2019.04.29 / 2019.06.25 / 2020.06.03 | 비공개 | 개발 중단 |
| ABL202 | CStone | 전세계(한국 제외) | 2020.10.28 / 2020.12.08 | 3.635억 달러 | 임상 1b상 |
| ABL001·111·501 | 한독 | 한국 | 2020.12.08 / 2021.06.10 / 2024.09.23 | 비공개 | 임상 단계별 진행 |
| ABL301 | Sanofi | 전세계 | 2022.01.11 | 10.6억 달러 | 임상 1상 완료 |
| Grabody-B 플랫폼 | GSK | 전세계 | 2025.04.05 | 21.4억 파운드 | 비공개 |
| Grabody-B 플랫폼 | Eli Lilly | 전세계 | 2025.11.12 | 약 585억 원 | 비공개 |
올릭스(OliX): siRNA 플랫폼의 대표 주자
“잘못된 단백질 생산을 아예 ‘원천 차단’하는 기술”
“siRNA는 잘못된 mRNA를 표적으로 삼아 분해해 단백질 생성을 원천 차단한다.”
“올릭스는 이 기술을 기반으로 탈모·비만 등 다양한 유전자 타깃 치료제를 개발하고
일라이 릴리 등에 기술 이전했다.”
siRNA 시장 성장 배경
- 단백질 생성 자체를 끊어버리는 강력한 효능
- 기존 항체·저분자 약물로는 막기 어려운 질환에 대응
- 비만·탈모 등 대규모 시장으로 확장 가능
올릭스 강점
- 독자적 GalNAc 기반 전달 기술
- 비만 치료제 관심 확대로 이슈 부각
- 글로벌 제약사(일라이 릴리 등)와 기술이전 성과
- 국내 RNA 치료제 분야에서 가장 앞선 기업
● 투자 포인트
- siRNA는 mRNA 치료제와 함께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RNA 모달리티
- 올릭스는 플랫폼 기술 기업으로서 장기 성장에 유리
- 비만 치료제 결합 시 수요 대폭 증가 가능
기술수출 현황
| 품목 | 계약상대 | 지역 | 계약일 | 총 계약금액 | 단계 |
|---|---|---|---|---|---|
| OLX706A (심혈관질환) | Hansoh Pharma | 중화권 | 2021.10.11 | 2,696억 원 | 비공개 |
| OLX706B (대사질환) | Hansoh Pharma | 중화권 | 2023.02.27 | 1,459억 원 | 비공개 |
| OLX706C (심혈관질환) | Hansoh Pharma | 중화권 | 2023.02.27 | 동일 | 비공개 |
| OLX702A (NASH·비만) | Eli Lilly | 전세계 | 2025.02.07 | 9,116억 원 | 임상 1상 |
국내 4대 바이오 플랫폼의 공통점 및 차별점
공통점:
- 모두 플랫폼 기술 보유 → 반복적인 기술이전 가능
- 글로벌 제약사 협업 경험 → 기술 검증 완료
- 단순 신약 개발 회사가 아닌 기술 기반 기업
차이점:
| 기업 | 핵심 기술 | 치료 영역 | 강점 |
|---|---|---|---|
| 알테오젠 | 히알루로니다제(B4) | 광범위 (항체·ADC·이중항체 등) | SC 제형 전환 독점적 지위 |
| 리가켐바이오 | ADC 플랫폼 | 항암제 | 안정적 링커·Trop2 항체 |
| 에이비엘바이오 | BBB 셔틀 + 이중항체 | 퇴행성 뇌질환 | IGF1R 기반 셔틀 기술 |
| 올릭스 | siRNA | 유전자 질환·비만 | RNA 기반 신약 플랫폼 |
“국내 바이오 기업들의 기술 경쟁력은 하루아침에 사라지지 않는다.
투자자는 기술 트렌드와 발전 방향을 지속적으로 체크해야 한다.”
바이오 투자는 단기 뉴스보다 각 회사가 어떤 독점 기술을 기반으로 성장하는지 보는 것이 핵심입니다.
알테오젠, 리가켐바이오, 에이비엘바이오, 올릭스는 각각의 영역에서 확실한 플랫폼 기술을 보유한 기업들로 2025년 이후 글로벌 시장에서 더욱 존재감이 커질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함께 읽어볼 글]
바이오 주식 투자 필수 지식: 신약 개발 단계(Discovery~임상 3) 정리
삼성 반도체 (P5·1C·1B·S3) 투자자 꼭 알아야 할 라인 용어, 지형도
반도체 포토 공정 밸류체인, 동진쎄미켐·에스앤에스텍·에프에스티·이엔에프테크놀로지
반도체 세정 공정 밸류체인, 코미코·한솔아이원스·제우스·케이씨텍·엘티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