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현대중공업이 HD현대미포를 흡수합병하기로 발표했습니다. 이번 합병은 단순한 계열사 통합을 넘어 미국 MASGA 프로젝트 대응, 글로벌 방산 수주 확대, 해외 야드 통합 전략이라는 큰 그림 속에서 진행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HD현대의 지배구조와 HD현대중공업·HD현대미포의 합병 일정, 비율, 향후 전망 등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HD현대그룹의 지배구조
HD현대그룹은 지주회사 HD현대를 중심으로 조선해양, 건설장비, 정유화학, 전기전자의 4대 핵심 사업부문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각 부문별 주요 자회사와 지분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 조선해양 부문
- HD한국조선해양: 조선·해양 부문 중간지주회사로, HD현대중공업(100%), HD현대미포조선(100%) 등을 자회사로 보유.
- 세계 최대 조선 그룹으로서 상선, 특수선, 해양플랜트 등을 건조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점유율 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정유화학 부문
- HD현대오일뱅크: 에너지·정유 사업의 핵심 계열사로, HD현대가 73.9% 지분을 보유.
- 석유 정제 및 석유화학, 친환경 에너지 전환 사업을 동시에 추진하며 IPO 준비도 진행 중입니다.
- 전기전자 부문
- HD현대일렉트릭: 변압기, 전력기기, 전자 장비 제조업체로, HD현대가 37.22% 지분을 보유.
- 친환경 전력 인프라 및 스마트 전력망 사업으로 영역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 건설장비 부문
- HD현대사이트솔루션: 건설기계 부문 중간지주회사로, HD현대가 100% 지분을 보유.
- 현대건설기계, 현대두산인프라코어 등을 산하에 두며 글로벌 건설장비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지배주주 및 주요 주주
- 정몽준 아산재단 이사장: HD현대 지분 26.60%
- 국민연금공단: 7.46%
- 정기선 수석부회장: 6.12%
최근 동향
2024년 기준, HD현대그룹은 조선·에너지 부문 실적 개선으로 주가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현대마린솔루션 상장, 현대오일뱅크 IPO 추진 등 주요 계열사의 기업공개 움직임이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이번 지배구조 체제는 각 사업 부문의 독립성과 전문성을 살리면서도, 지주회사인 HD현대를 통한 전략적 투자·자원 배분 효율화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HD현대중공업 지배구조 개편
기존 구조
- HD한국조선해양이 지주사 역할을 맡고 있으며, HD현대중공업·HD현대미포·HD현대삼호 등 주요 조선 자회사를 거느려 왔습니다.
- 하지만 해외사업은 미포와 한조양이 나눠 관리해 비효율성이 존재했습니다.
합병 후 구조
이는 해외사업 투자 재원 확보와 의사결정 효율화를 위한 전략적 포석입니다.
HD현대중공업이 존속법인, HD현대미포는 소멸.
싱가포르에 투자법인을 설립해 베트남 HVS, 필리핀 HHIP, 비나신 조선소 등 해외 거점을 일원화.
지분율은 HD한국조선해양 60%, HD현대중공업 40%로 설정.

HD현대중공업·현대미포 합병 주요 일정 및 비율
합병 개요
- 존속법인: HD현대중공업
- 소멸법인: HD현대미포
- 합병 방식: HD현대중공업이 신주를 발행하여 HD현대미포 주주에게 교부하는 흡수합병

합병 비율
| 구분 | 합병비율 | 주식매수청구권 가격 |
|---|---|---|
| HD현대중공업 | 1.0000000 | 462,626원 |
| HD현대미포 | 0.4059146 | 192,695원 |
➡️ 즉, HD현대미포 1주당 HD현대중공업 신주 0.4059146주가 배정됩니다.
합병 주요 일정
| 단계 | 일정 | 비고 |
|---|---|---|
| 합병 발표 | 2025년 8월 27일 | 장 마감 후 공시 |
| 주식매수청구권 행사 기간 | 2025년 10월 23일 ~ 11월 12일 | 두 회사 모두 행사 가능 |
| 합병 기준일 | 2025년 11월 17일 | 주주명부 기준 |
| 합병 기일(법적 효력 발생) | 2025년 12월 1일 | HD현대중공업 존속 |
합병 의미
- 이번 교환비율은 시가총액을 반영한 합리적 수준으로, 종목 간 차별성보다는 합병 후 시너지와 성장성에 따라 주가가 움직일 가능성이 큽니다.
- 특히 방산·특수선·해외 MRO 사업을 중심으로 매출 성장이 예상되며, 2035년까지 매출 37조 원, 방산 매출 10조 원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시너지 포인트
- HD현대미포의 중소형 야드: 군수지원함, 상륙함, 구축함 등 중소형 함정 건조에 최적화.
- HD현대중공업 대형 야드: 초대형 상선 및 해양플랜트에 강점.
- 두 야드의 결합으로 함정 건조 + 상선 건조 + 특수목적선 건조 모두 대응 가능
- 특히 미 해군의 알레이버크급 구축함과 호환성이 높은 KDX-III Batch-II(정조대왕급) 건조 경험을 바탕으로 미국 함정 사업 수주 가능성이 높게 평가됩니다
[함께 읽어볼 글]
반도체 디자인하우스 분석: 삼성 파운드리 및 TSMC 파트너사
팹리스(Fabless) 반도체 기업 총정리: 특징, 전망 및 주요 기업 분석
HBM 반도체 관련주 총정리! HBM 공정부터 핵심 기업